본문 바로가기

KAIST, 대화 가능 전기차 개발 나선다

작성자 i.CodeLab
작성일 17-11-28 19:02 | 616 | 0

본문

KAIST, 대화 가능 전기차 개발 나선다

42f674baaeab78316db5b0ef1d9c4252_1511863303_8536.jpg

<최근 KAIST에서 열린 디지털 전기차 기술 워크숍에서 참석자들이 최세범 KAIST 교수 연구실이 제작한 차세대 디지털 3륜차를 보고 있다. 

최무룡 박사과정 연구원(맨 오른쪽)이 디지털컨트롤통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.> 

black_x.png

지난 1982년 TV로 방영됐던 ‘전격Z작전’의 자동차 ‘키트’는 주인공과 대화하며 스스로 운전한다. 당시엔 소설 같았지만 이 같은 자동차 개발이 눈앞에 다가왔다.
 지난 19일 전자신문 후원으로 KAIST에서 열린 P3디지카(DigiCar) 센터 개소 기념 ‘제1회 2011 디지털 전기자동차 기술 워크숍’에서 발제자로 나선 권동수 KAIST 교수(기계공학과)가 ‘인간자동차상호작용(HCI:Human-Car Interaction)’ 기술을 공개했다.
 이 자리에서 권 교수는 “자동차가 사람의 감정까지 인식해 운전자에게 가장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”며 “KAIST가 그동안 진행해 온 인간로봇상호작용(HRI) 기술을 자동차에 융합하는 중”이라고 말했다.
 권 교수는 “이를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지능형 운전자 정보 시스템이 확보돼야 한다”며 “운전자, 차량, 환경 간의 직접적인 정보 전달 관계를 통합,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발 중”이라고 설명했다.
 오는 2017년까지 진행될 이 기술 개발에는 △능동 안전을 위한 운전자 상태 스마트 인지 기법 △초소형 저전력 시스템에 의한 실시간 물체 인식 및 추적 알고리즘 △운전자 보조 능동 안전 시스템 및 운전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과제가 포함돼 있다.

 이와 함께 김정호 KAIST 교수(전기및전자공학과)는 “자동차는 기계 장치가 아니라 전자제품”이라며 “차량 내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노이즈(EMI/EMC/EMF) 문제가 심각하다”고 지적했다.
 김 교수는 차량용 반도체의 전자파적합성(EMC) 신뢰성 설계 및 측정 결과를 소개하고, 정부와 업계가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자동차용 반도체 개발에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. 그는 오는 2013년께면 국내 차량용 반도체 시장 규모만 14억9800만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설명했다.
 이날 행사에서 유해 전자파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반도체 설계 기술 및 측정 기술을 중점 선보인 김 교수는 차량 내 전력 전송 장치나 고감도 센싱 장치, 고속 신호 전송 장치, 고속 신호 처리 장치 등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노이즈가 전자 장치의 오동작과 운전자 및 주변 사람에게 생체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.
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김만식 ATT R&D 대표와 최세범 KAIST 교수, 이봉현 자동차부품연구원 센터장, 김광헌 한국타이어 고문, 허훈 KAIST 교수, 양천석 LS산전 팀장, 이한호 LG화학 연구위원 등이 전기차 핵심기술 등을 소개했다.

대전=박희범기자 [email protected]

댓글목록 0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 상단으로